본문 바로가기

Happy Knitting/뜨개생활

변형고무뜨기 2 : yf, s1, brk 1

반응형

이탈리안 코잡기 10코를 하고 turn을 한 상태입니다. 브리오쉬 스티치의 셋업 단(set up row : 스티치의 자리를 잡는 단. 이 글에서는 코잡기를 한 후 1번째 단을 말합니다.)을 할 건데요. 좀 신경써줘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tail yarn이 걸려있는 코는 그냥 내버려두면 잘 돌아가요. 한바퀴 돌아버리면 다음 단을 뜰 때 좀 헷갈릴 수도 있거든요. 그러니까 tail yarn을 좀 잘 잡고 셋업단을 뜨셔야 합니다. 좀 번거롭지만 조금만 신경 써 주세요~!

 

 

step 1 : yf, sl1 (yarn front, slip 1 stitch.) 진행하는 실을 앞으로 옮기고, 걸러뜨기 1코 하기.

step 2 : knit 1. 겉뜨기 1코 하기. 실을 앞으로 옮겨놓고 겉뜨기를 했기 때문에 바늘비우기를 한 것처럼 되어서 1코 늘어납니다.

 

step 1과 strp 2를 계속 번갈아 반복하면 됩니다. 쉽지요? 이 때도 tail yarn이 걸려 있는 코가 돌아가지 않게 챙겨 주세요. 돌아가버리면 다음 단 뜰 때 짜증나서 머리가 돌아버릴 지경이 될수도.. 표현이 너무 과격한가요? 죄송합니다. ㅠㅠ 

 

 

3번째 코 뜰 차례입니다. 실을 앞으로 옮기고, 걸러뜨기 1코 하고, 다음코는 겉뜨기 1코 하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은 마지막 10번째 코를 겉뜨기 하는 사진입니다.

 

 

셋업 단(코잡기하고 첫번째 단)을 한 사진입니다. 이제 turn(다음 단을 뜨기 위한 편물 뒤집기)을 하시고,

 

 

 

이제 2번째 단을 하겠습니다. 2번째 단부터는 원하는 길이만큼 계속 반복하시면 됩니다.

Yarn front, Slip 1. :  실을 앞으로 옮기고, 안뜨기 방향으로 걸러뜨기 1코 하기. 

 

 

BRK 1. (Brioche Knit 1.)  : 바로 전 단에서 바늘비우기와 걸러뜨기 했던 코 한꺼번에 (마치 K2tog : 2코 한번에 겉뜨기하는 것처럼) 겉뜨기 1코 하기. BRK는 브리오쉬 겉뜨기 라고 하겠습니다.

 

 

이제 '실을 앞으로 옮기고, 걸러뜨기 1코, 브리오쉬 겉뜨기 1코'를 계속 반복하면 됩니다.

 

 

 

 

마지막 코를 브리오쉬 겉뜨기 1코로 하면 한 단을 다 뜨게 됩니다.

지금 상태로는 어떤 스티치인지 전혀 예상 불가능이지만 5~6단 정도 뜨면 모양이 제대로 나와요.

 

 

 

포스팅 저장 후 다시 읽어 보니까 브리오쉬 스티치가 어떤 모양인지 사진이 하나도 없네요. 그래서 급하게 사진 올립니다.

브리오쉬 스티치는 실의 두께 대비 편물이 두툼하게 떠져서 쿠션감이 좋아요. 실이 얇은데 두꺼움 편물을 뜨고 싶을 때 아주 좋은 스티치 입니다. 고무뜨기나 가터뜨기처럼 안면과 바깥면이 다르지 않아요. 그래서 목도리에 많이 쓰이는 스티치입니다.

실이 많이 필요해요. 메리야스뜨기와 비교하면 거의 2배까지 실이 소요된다는 글도 보았습니다.(http://www.briochestitch.com/ 참조)

 

 

동영상으로도 만들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