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재테크

13F란 무엇인가요?

by catcactus 2025. 3. 24.
반응형

 

13F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가 요구하는 보고서의 일종으로, 공식 명칭은 "Form 13F" 또는 "13F-HR" (Holdings Report)입니다. 대규모 기관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 포트폴리오를 분기별로 공개하도록 하는 제도로, 투자자 및 시장 참여자들에게 투명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에서 13F의 개념과 주요 내용을 쉽게 설명드릴게요.

 

13F란 무엇인가?

 

13F는 미국 상장 주식(또는 특정 증권)에 투자하는 기관 투자자가 작성하는 보고서로, 그들의 보유 자산을 공개합니다.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 블랙록(BlackRock), 뱅가드(Vanguard) 같은 대형 투자 회사들이 제출 대상에 포함됩니다.

 

제출 의무 조건:

  • 기관이 관리하는 자산이 1억 달러($100 million) 이상일 경우.
  • 여기서 "기관"은 헤지펀드, 뮤추얼 펀드, 연기금, 투자 회사 등을 포함합니다.

 

 

제출 시기:

  • 분기 종료 후 45일 이내에 제출.
  • 예: 2024년 4분기(12월 31일 기준) 데이터는 2025년 2월 14일까지 공개.

 

 

공개 범위:

  • 미국 거래소(NYSE, NASDAQ 등)에 상장된 주식, ETF, 일부 옵션 등 롱 포지션(매수한 자산)만 포함.
  • 공매도(숏 포지션), 비상장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은 제외.

 

 

13F에 담긴 주요 정보

 

13F 보고서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보유 종목: 어떤 회사 주식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예: Apple, Occidental Petroleum 등).
  2. 주식 수: 각 종목별 보유 주식 수량(예: 3억 주).
  3. 가치: 분기 말 기준 해당 주식의 시장 가치(예: 751억 달러).
  4. 변동 사항: 이전 분기 대비 매수, 매도, 유지 여부(간접적으로 계산 가능).

 

예를 들어, 버크셔 해서웨이의 2024년 4분기 13F를 보면 Apple 주식 3억 주(751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으며, Occidental Petroleum 주식을 추가 매수했다는 식으로 데이터가 나옵니다.

 
 
.

 

13F의 목적과 활용

 

투명성: 대형 투자자의 움직임을 공개해 시장 참여자들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

 

투자자 활용:

  • 개인 투자자가 워렌 버핏 같은 "큰손"의 전략을 참고해 투자 아이디어를 얻음.
  • 예: "버핏이 Occidental Petroleum을 샀으니 나도 관심 가져볼까?"

 

시장 영향: 13F 공개 후 특정 종목의 주가 변동이 발생하기도 함(특히 신규 매수/대량 매도 시).

 

 

한계점

 

시차: 분기 말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며, 공개까지 최대 45일이 걸리므로 실시간 정보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12월 31일 보유 주식이 2월 14일에 공개되면 그 사이 매매가 반영되지 않는 거죠.

 

부분 공개: 롱 포지션만 공개되며, 전체 자산(현금, 비상장 주식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버크셔 해서웨이의 경우 현금 3,250억 달러는 13F에 안 나오죠.

 

기밀 요청: 기관은 특정 보유 정보를 일시적으로 비공개 요청(Confidential Treatment)할 수 있습니다.

 

 

어디서 볼 수 있나?

 

  • SEC EDGAR: www.sec.gov/edgar에서 원본 확인 가능.
  • 가공된 데이터: 13f.info, fintel.io, whalewisdom.com

 

 

간단히 요약하면, 13F는 "큰손 투자자들이 분기 끝날 때 뭘 가지고 있었는지 보여주는 장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3월 기준으로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 포트폴리오를 알고 싶다면, 2024년 4분기 13F를 보면 됩니다(2025년 2월 14일 공개). 하지만 그 이후 변동은 뉴스나 별도 공시로 확인해야 하죠.